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직확인서 작성방법 정보

이직확인서 작성방법 자세한 정보

 


 
이직확인서는 근로자가 많이 관심을 갖는 서류이다.
하지만 작성하고 제출하는 주체는 사업자(고용인)이다.
사업자에게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근로자가 요청했을 때 작성 방법을 그 제서야 알아보는 사업자가 많다.

이직확인서 작성방법은 크게
1. 어디서 작성 및 신청을 하는지
2. 퇴사 사유를 무엇으로 기재하는지
두 가지를 알면 된다.

오늘은 이직확인서 작성 방법부터 마감 기한,
발송 방법, 퇴사자의 퇴직 사유를 무엇으로 기재해야하는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01. 이직확인서가 필요한 이유

 
근로자들이 이직확인서를 요청하는 이유는 오직 “실업급여”를 목적에 두고 있다.
이름 그대로 왜 이직을 하였는지
+덧, 여기서 이직은 그만둠을 의미한다.

그 사유를 파악하고 자발적 퇴사가 아님을 확인하여
실업급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02. 이직확인서는 어느 공단에 언제까지 제출하는걸까?

 
실업급여를 제공하는 공단은 “고용보험(근로복지)”공단이다.
따라서 근로복지공단에 이직확인서가 제출되는 것이 필요하다.

추가로 이직확인서의 제출 기한은 요청일로부터 10일 이내이다.
하지만, 근로자의 퇴사일로부터 그 다음 달 10일까지
상실신고를 하면 되기 때문에,

상실신고 전 = 상실신고 기한까지 (퇴직일의 다음 달 10일)
상실신고 후 = 요청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

두 가지를 기억해두자.



03. 이직확인서 작성 사이트

그럼, 이직확인서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작성해야할까?
추천하지 않는다. 일단 너무 복잡하고 사유 파악이 어렵다.

이직확인서의 작성 맹점은 그 사유가 어떤 사유인가 인데,
잘못 된 사유를 기재할 경우 실업급여 부정수급 방조로 과태료를 낼 수 있다.

공단은 상담 연결까지 시간이 오래 소요되기 때문에
즉각 응대를 해줄 수 있는 서비스 비즈포인을 추천한다.

비즈포인은 근로복지공단에서 지정한 무료대행 서비스 기관이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시간적으로, 관리적 측면으로 훨씬 유리하다.





 

여느 공단과 마찬가지로,
비즈포인 서비스 역시 회원가입을 진행해야 한다.

이 때, 사업장 위탁신청을 해야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위탁신청을 먼저 하는 것을 추천한다.

 



 
비즈포인의 이직확인서 카테고리는 
메인화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만큼 많은 사업자가 하는 신고라는 뜻인듯 하다.

 



04. 이직확인서 작성방법과 퇴사 사유 선택하기

 
이직확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를 선택한 다음 이직일을 선택해주시면 된다.

여기서 이직일은 직원이 마지막으로 출근하는 날짜를 선택해주셔야 한다.

단, 연차 사용 등을 고려하여 기재하시는 것이 좋다.
상황이 헷갈린다면 회원가입 시 배정받은 담당자에게
물어보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퇴사 사유를 선택할 차례,
실업급여를 수급할 수 있는 퇴사 사유는 다음과 같다.

 12번 코드 – 사업장 이전, 근로조건 변동, 임금체불로 인한 자진퇴사
 22번 코드 - 폐업,도산, 공사 중단
 23번 코드 – 해고,권고사직, 계약파기
 31번 코드 – 정년 퇴직
 32번 코드 – 계약기간 만료, 공사 종료

대부분의 직원들은 32번 코드로 실업급여를 많이 수급하는데,
여기서 계약 종료란 고용보험 가입시 계약 근로자로 가입한 근로자
+ 근로계약서에 계약 일시가 작성된 근로자만 해당한다.

이 점을 유의해서 작성해야 한다.

그리고 추가로 그냥 고용한 정규 직원이 퇴직의사를 밝혔다면
이직확인서를 작성할 일이 없으니, 위와 같은 코드만 잘 기억해두면 된다.





 
코드를 작성했다면, 급여를 기재할 차례이다.
이직일 기준 3개월의 급여 항목을 확인하며,
모든 금액 기준은 세금포함 기준으로 작성하면 된다.

만약 헷갈릴 경우 역시나 담당자에게 물어보면 빠르다.



 
모든 기재사항을 작성했다면, 접수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럼 비즈포인측에 신고서 접수가 완료되며,

담당자가 이직확인서 검수를 진행한다.
이상 없을 경우, 바로 공단에 전송을 진행하며
이상이 있을 경우 담당자가 친절하게 연락을 줄 것이다.

그 때, 어디서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들으면 되며
수정해서 재 접수하면 재확인 후 공단으로 넘어간다.

접수한 내역은 틈틈히 카카오톡으로 현황을 알려주니
그냥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http://www.biz4in.com?src=viral&kw=000378

 

비즈포인 | 근로복지공단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정 4대보험 사무대행기관

근로복지공단과 건강보험공단 지정 4대보험사무대행 기관으로 사업장의 다양한 보험사무 행정처리를 전문가와 함께 무료로 비즈포인에서 지원해 드립니다.

www.biz4in.com

 


오늘은 이직확인서의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았다.
가장 많이 검색하는 단어인 만큼 작성할 일도 많다는 뜻.
어렵게 하지 말고 쉽게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